오늘은 배임이란 무엇인지, 어떤 뜻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간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법률 용어가 참 어려운데요, 오늘 이 글을 통해 배임에 대해서 알려드릴테니 확실하게 알아가시기 바랍니다.
목차
배임이란
배임이란 회사원이나 공무원 등이 자신이 해야할 의무를 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회사에 재산상의 금융 피해를 입혔을 때 사용됩니다.
배임죄도 종류가 있는데 배임수증죄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,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질 수 있으며 업무상 배임죄의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질 수 있습니다.
많은 분들이 횡령과 배임을 많이들 헷갈리십니다. 이는 은행 등에서 돈을 맡겼는데 직원이 마음대로 썼을 경우에 해당하는데요 생활속에서는 계를 했는데 계주가 모임의 돈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렇게 배임죄에 해당합니다.
배임 뜻
배임은 형법 제 355조로 들어갑니다. 아래는 해당 법령 내용이며, 이미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한자 뜻으로는 배반할 배 背 , 맡길 임 任 자를 쓰는데요, 맡긴 일을 하지않고 다른 마음을 품고 배반을 했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.
횡령과 배임 차이
한 끗차이지만 횡령과 배임은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. 배임의 경우 꼭 금전적인 일이 들어가지 않아도 그 책임을 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주어진 임무를 저버리는 것만으로도 배임에 해당하는 것 입니다.
횡령은 남의 재물을 불법상의 이유로 자신의 이득을 취하는 것으로 의도가 어떤식으로 구분되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 입니다.
예를 들어 회계 담당자가 회사 자금을 횡령하여 자신의 계좌로 이체하거나 본인의 경제적인 이익을 취하는 경우를 말합니다. 횡령은 배임의 하위 범주로 생각하시면 되는 것 입니다.
임금체불 신고방법 (고용노동부)
열심히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의 개인적인 사유로 이래저래 핑계를 대며 급여나 아르바이트비를 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로 인한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. 오늘 이 글을 통
letitflow.kr
공소권없음이란 (처벌)
올바른 생활을 하면 법 없이도 살아갈 수 있지만 인생을 살다 보면 나도 모르게 법적인 일에 연루될 수도 있습니다. 오늘은 공소권 없음이란 무엇인지 용어와 벌금이 있는지도 확인해보도록 하
letitflow.kr
미성년자 나이 (기준)
행정상으로 만 나이가 적용되며 변경되는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. 2023년 6월 28일이 되면 6월 출생자를 기준으로 만나이가 적용됩니다. 오늘은 국제표준 방식인 만나이 통일됨에 따라 어떤것들
letitflow.kr
댓글